[Network] Hyper-V 가상환경에서 Proxy 설정

Hyper-V 가상환경에서 Proxy 설정 정리

개발 환경에서 로컬 프록시를 구성할 때, 특히 Hyper-V 가상 머신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설정하면 편리합니다.

1. Hyper-V 가상 머신 네트워크 구성

  • 가상 스위치 설정: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려면 Hyper-V에서 외부 가상 스위치를 생성하고 VM에 연결합니다.
  • 고정 IP 할당: VM에 고정 IP를 설정해두면 이후 연결이 안정적입니다.
  • 예: 192.168.100.10

2. 프록시 서버 실행 (예: nginx, mitmproxy 등)

  • VM 내부에서 프록시 서버를 실행합니다.
  • 포트는 일반적으로 8080, 3000, 5000 등을 사용합니다.
  • 예: http://192.168.100.10:8080

3. 방화벽

  • 방화벽 > 고급설정 > 인바운드규칙 > 새 규칙 >
    규칙종류 : 포트 > 특정 로컬 포트 : 8080,8081 등 connectport와 맞는 포트 번호 입력

 

 

4. 호스트 PC에서 hosts 파일 수정

  • 도메인 기반 접근을 위해 hosts 파일에 다음과 같이 등록합니다:

192.168.100.10 local.dev

  • Windows 기준 C:\Windows\System32\drivers\etc\hosts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수정해야 합니다.

5. 도메인 + 포트로 접근

  • 이제 브라우저나 클라이언트에서 다음과 같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:
  • 이 방식의 장점:
  • 여러 프록시를 도메인별로 구분 가능
  • CORS, 쿠키 도메인 이슈 테스트에 유리

도메인으로 붙기

  • SSL인증하면 https로 포트입력없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
    SSL은 사이트, 확장자도 굉장히 다양함. 고객사에서는 무엇을 줄 지 모름
    톰캣,아파치,엔직엑스에 해야될때가 다른데 어떤 확장자가 어디서 제일 편한지도 찾아봐야함
    PEM -> PFX , JKS를 Keytool등으로 변환하는 방법 등을 찾아보고 할 줄 알아야함

 

  • SSL 테스트가 필요하다면 mkcert로 로컬 인증서를 생성해 https://local.dev 환경도 구성할 수 있습니다.
  • 포트 포워딩이 필요한 경우, Hyper-V NAT 설정이나 Windows 방화벽 규칙을 조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.
  • 도메인 자동 등록을 원한다면 dnsmasq나 Acrylic DNS Proxy 같은 로컬 DNS 툴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
 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Network] Hyper-v  (0) 2025.09.26
[Network] Tomcat에 SSL 인증서 설치하는 방법  (0) 2025.09.19
[Network] 네트워크 및 인프라  (0) 2025.09.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