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<jsp:useBean> 액션
- <jsp:setProperty>, <jsp:getProperty>와 함께 사용.
사용법)
-1.객체화) – default constructor를 사용하여 객체화.
<jsp:useBean id=“객체명” class=“패키지명.클래스명” scope=“객체화후 객체의 사용범위”/>
-2. 값 할당 ) – setter method 사용.
<jsp:setProperty name=“객체명” property=“set을 제외한 method명을 소문자” value=“값” />
- 3.값 사용) – getter method 사용 : web browser로 출력까지 함께 수행.
<jsp:getProperty name=“객체명” property=“get을 제외한 method명을 소문자” />
*scope 속성에 들어가는 값( scope객체가 할당 )
scope: 값을 저장하고 사용범위를 제공하는 객체. pageContext, request, session, application
-session : 웹 브라우저마다 하나의 객체가 생성되고, 생성된 객체는 모든 JSP에서 사용된다.
-application : 최초 접속자에 의해 하나의 객체가 생성되고, 모든 접속자는 하나의 객체를 사용하며, 이 객체는
모든 페이지에서 사용가능.
*EL ( Expression Language )
- 표현언어 : JSP에서 웹 브라우저 출력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언어
- page directive 에서 isELIgnored=“false”인 설정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.
- 변수의 값, scope 객체의 값, web parameter의 값, 간단한 연산 결과를
web borwser로 출력할 수 있다.
사용법)
${ 코드 }
연산자사용)
${ 값 연산자 값 }
-EL에서는 문자가 없다.( “문자열”, ‘문자열’)
- null 은 출력하지 않는다.
*EL에서 변수 출력
-EL에서는 변수를 직접 출력할 수 없고, scope객체에 할당해야 출력가능.
*scope객체 => EL에서 지원하는 scope객체명
pageContext => pageScope
request => requestScope
session => sessionScope
application => applicationScope
*web parameter출력
- param, paramValues 객체를 사용.
사용법)
-이름속성의 값이 유일.
${ param.폼컨트롤명 }
-이름속성의 값이 중복. ( JSTL 과 같이 사용)
${ paramValues.폼컨트롤명[인덱스] }
*사용법)
1. scope객체에 값 설정
pageContext.setAttribute(“이름”, 값 );
request.setAttribute(“이름”, 값 );
session.setAttribute(“이름”, 값 );
application.setAttribute(“이름”, 값 );
2. EL에서 scope객체에 저장된 값 얻기
${ pageScope.이름 }
${ requestScope.이름 }
${ sessionScope.이름 }
${ applicationScope.이름 }
*이름이 같을 때 EL에서 scope 객체를 생략하면
pageScope > requestScope > sessionScope > application으로 접근이 된다.
*JSTL( JSP Standard Tag Library )
- Java가 아닌 다른 개발자나 단체에 만들고 배포하는 액션태그.
- 표준액션(액션태그)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것.
- Tag Lib라고 한다.
- 배포 .jar로 되고, Web Application에서 사용하려면 WEB-INF/lib 폴더에 넣으면 된다.
*사용법)
1.지시자를 선언) – 외부 tag lib를 연결하기위해서
<%@ taglib prefix=“접두어” uri=“Tag Lib를 사용하기위해 제공하는 URL” %>
2.Tag Lib에서 제공하는 태그를 사용.
<prefix:태그명 속성=“값” ,,, > 내용</prefix:태그명>
*core
-제공하는 기능 : 변수선언, 웹 브라우저 출력, 제어문, import, redirect, exception
사용법)
1. JSTL을 사용하기위한 지시자 선언)
<%@ taglib prefix=“c” uri=“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” %>
2. Tag Lib에서 제공하는 태그를 사용.
<c:태그명 속성명=“값” ,, >
-변수
-선언)
<c:set var=“변수명” value=“값”/>
.
-삭제)
<c:remove var=“변수명”/>
<c:out value=“출력할 값” escapeXml=“true|flase”/>
escapreXml :
입력된 값에 HTML Tag가 있다면 tag를 그대로 보여줄것인지 해석하여 그릴 것인지를 설정하는 속성.
true – 태그를 문자열로 출력. <strong>안녕</strong>
false – 태그로 그려서 출력 안녕
*제어문
- scriptlet 없이도 JSTL을 사용하면 제어문을 사용할 수 있다.
조건문 : if, ( choose, when, otherwise )
반복문 : forEach, forTokens
-if :
단일 if만 지원.
문법)
<c:if test=“조건식”>
조건에 맞을 때 실행될 문장들….
</c:if>
'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P] Pagination, AJAX File Upload, 다운로드 (0) | 2025.05.23 |
---|---|
[JSP] 사용자 인증 게시판, List만들기, 검색 조회 (0) | 2025.05.15 |
[JSP] 웹 동작방식 동기식, 비동기식, JSONObject (0) | 2025.05.13 |
[JSP] redirect, cookie, session (0) | 2025.04.29 |
[JSP] 태그, 내장 객체, scope객체, request 객체 (0) | 2025.04.27 |